3. 경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역량 진단 사례 #2
2024 – 05 – 30
앞 칼럼에 이어서
4)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선정
A사의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 및 평가 과정에는 국내 ㈜B2l Soft사가 개발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 솔루션 Biz-MBA를 활용하였다. Biz-MBA는 관리자들의 경영 마인드 향상과 경영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개발한 web 기반의 경영 시뮬레이션 솔루션으로서, 삼성, LG, 한전, GS 칼택스 등의 관리자들 교육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Biz-MBA 솔루션에서는 교육생들이 팀을 구성해서, CEO, CMO, COO, CHO, CFO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경영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그 의사결정 성과에 따라서 각 팀의 경영 성과가 창출 되는 시스템이다.
가. 경영 의사결정 종류
Biz-MBA에서 수행하는 경영 의사결정은 크게 CEO, CMO, COO, CHO, CFO의 5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각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이 입력한 의사결정의 값에 의해서 각 팀의 경영 성과가 창출된다. Biz-MBA에서 각 역할별로 수행해야하는 의사결정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나. 경영 보고서 종류
Biz-MBA에서 각 팀의 의사결정이 입력이 되면 각 팀의 경영 성과가 실시간으로 창출된다. Biz-MBA에서 제공되는 경영 보고서는 경제 동향 보고서, 산업 동향 보고서, 자사 성과 보고서, 연도별 보고서 및 의사결정 보고서로 나누어진다.
다. 경영 미션 종류
Biz-MBA에서는 단순하게 의사결정을 입력하고 그에 따른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만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의사결정을 수행했는지, 무엇을 의도하였는지 등을 분석하는 경영 미션을 수행해야 한다. 경영 미션은 경영 의사결정 및 경영 프로세스의 블랙박스를 화이트박스로 만드는 중요한 도구이다. Biz-MBA는 크게 6개 영역에서 30개의 경영 미션을 수행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5) 역량 평가 지표 개발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교육을 통해서 평가할 수 있는 역량과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을 선정한 다음에, 역량들을 평가하는 측정지표들을 개발하였다. 측정 지표는 교육 현장에서 관찰하는 지표와 교육 후 경영 의사결정, 경영 미션 및 경영 성과 보고서를 분석해서 평가하는 지표로 구성되었다.
경영 마인드 능력의 경영 환경 대응 능력은 경영 환경 이해도, 경제 환경 분석력, 경쟁사 분석 능력의 지표로 평가하였다. 경영 전략 수립 능력은 기업의 명확한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도달하기 위해 전략과 계획을 만들고 실행하고 추진해나가는 능력으로 경영 목표 및 전략 수립 능력, 경영 보고서 작성 능력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 Value chain 통합 능력은 프로세스 이해정도, 목표와 전략에 따른 각 기능 조정, 각 기능들을 통합하는 정도로 평가하였다.
경영 의사결정과 분석 능력 중 경영 의사결정 능력은 경영 의사결정의 이해도, 주어진 시간 속에서 의사결정 수행, 합리적 의사결정 여부 등으로 평가하였다. 경영 분석 능력의 경우, 경영 분석 도구 활용 정도, 경영 미션 수행 정도, 논리적 분석 정도의 척도로 역량을 평가하였다.
경영 성과 창출 능력 중 단기성과 창출 능력은 누적 순이익, 순이익 창출 회수, 매출 경상 이익률로 평가하였다. 지속 가능 성장 창출 능력은 단기성과를 넘어 미래의 성장 잠재력을 기울일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기술 개발, 고객 브랜드, 품질, 영업, 생산 능력, 인적자원 수준 등으로 평가하고, 기술 개발은 신제품 개발 수준으로, 고객 측면은 브랜드 등급, 품질 측면은 품질 등급으로, 영업 능력은 영업 직원 수로, 생산 능력은 생산라인 수로, 인적자원은 직원 만족도로 각각 측정하였다.
협업능력과 승부 근성에서, 협업 능력은 팀원의 의견에 대한 경청태도, 토론 정도, 논리적 설득 능력에 따라 평가하였고, 승부 근성은 얼마나 교육에 적극적으로 임하는지, 교육에서 학습하려는 정도, 승부욕의 정도로 평가 하였다.
교육이 종료된 후에, 교육 과정에 관찰하고 평가한 자료와 함께 의사결정의 질, 성과 보고서, 미션 성과 등을 분석해서 개인별 역량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개인별 평가 보고서는 향후 인적 자원 개발 계획 및 평가 보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역량 평가 보고서는 4개 핵심 역량을 기준으로, 매우 우수, 우수, 보통, 약함, 매우 약함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역량별 점수를 계산하였다. 그 후, 개인역량 평가 보고서에 각 역량 관점에서 강점과 약점을 간단하게 기술하였다.
경영 시뮬레이션 기반의 교육을 병행하면서 평가한 역량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정확하게 검증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단지, A 기업의 인적 자원 관리 팀에서는 본 사례에서 분석한 역량 평가 결과에 대해서 만족한 상황에서 교육과 평가가 종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