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신입사원 교육을 위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 선정 기준
2024 – 05 – 30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김상수 교수 ㈜ 비투엘소프트 CTO
신입 사원 교육에서 어떤 종류의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 과정을 선택해야 하는가?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은 최소 6시간부터 8시간까지 진행하는 교육으로서, 많은 투자가 필요한 교육이다.
그러므로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몇 가지 중요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제일 먼저, 경영 시뮬레이션 콘텐츠는 IT기반의 콘텐츠이어야 한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의 성공 여부는 어떤 종류의 경영 시뮬레이션을 선택하느냐 하는 일이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에서는 각 팀의 경영 의사결정이 실시간으로 입력하고, 그에 따른 경영 성과가 실시간으로 창출되어야 하고, 팀 간의 의사결정이 서로 영향을 주는 상호 작용되어야 하고, 동시에 경영 리스크 및 불확실성을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한 두 번이 아닌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하면서 기업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하고, 기업의 생존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 성장 능력을 향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경영 시뮬레이션은 반드시 IT 기반의 경영 시뮬레이션이어야 만한다. 일부 기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보드 게임 기반의 시뮬레이션 콘텐츠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진정한 경영 시뮬레이션이라고 볼 수 없다.
둘째, 경영 시뮬레이션 콘텐츠는 논리성을 갖추어야 하고, 국내 기업의 경영 현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경영 시뮬레이션 콘텐츠는 경영 전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value chain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value chain 별 의사결정은 논리적이어야 하고, 그에 따른 경영 성과가 논리적으로 생성되어야 한다. 또한 시나리오, 경영 의사결정 구성, 경영 성과 보고서, 재무제표 등의 용어 등이 국내 기업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어야 하고, 글로벌 경영 환경을 반영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해도 교육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셋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은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통해서 진행되어야 한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은 단순하게 의사결정 입력하고, 흑자가 나서 박수치는 좋은 단순한 교육이 되어서는 안 된다. 교육 과정이 체계적이라는 의미는 경영 의사결정의 논리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경영 미션 도구와 경영 분석 도구 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교육 단계별로 체계적인 피드백과 코칭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에서는 AAR을 작성해서 Self reflection을 하고, 교육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 및 현업에 적용하는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넷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선 우수한 강사진이 필요하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은 우수한 경영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교육 과정으로 진행하지만, 강사가 경영 성과를 분석하고, 코칭을 하고, 피드백을 진행하는 교육 과정이다. 그러므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하는 강사는 반드시 경영 시뮬레이션 콘텐츠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추어야 하고, 시뮬레이션 기반의 교육 방법을 잘 이해하고, 경영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효과가 입증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도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은 한 두시간의 교육이 아니라 최소 6시간, 보통 1일 과정으로 운영되는 교육 과정이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교육이다. 그러므로 교육 효과가 입증된 경영 시뮬레이션 콘텐츠, 체계적인 교육 과정, 우수한 강사로 구성된 교육 과정을 선택해야 한다. 단순하게 교육생들을 재미있게 해서 교육 만족도가 높은 교육이 아니라 진정 경험과 lessons을 줄 수 있는 경험 많은 교육 과정을 선택해서 진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