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입사원 교육과 경영 시뮬레이션
2024 – 04 – 11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명예교수 김상수 교수 ㈜ 비투엘소프트 CTO
DX, 비대면, Big Data, AI 시대에 기업들은 신입사원 교육 과정을 기획하고 운영할 때 가장 깊은 고민은 자기 주장이 강하고, IT 환경에 익숙하고, 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MZ 세대 신입사원들에게 어떤 교육을 제공할 것인가? 하는 것일 것이다. 특히 온라인 및 동영상 교육에 익숙하고, Naver, Google, YouTube와 같은 채널 속에서 지식을 취득하고 학습하는데 능숙한 신입사원들에게 단순한 지식을 전달하고 듣는 교육은 한계가 있고, 지루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신입사원 교육 과정에 IT 기반의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많이 도입하고 있다. 물론 일부에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fun 중심의 조직 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하면서, 보드게임 형태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도 많다. 그러나 IT 환경하에서 학습하고 생활하고, 많은 지식이 무장된 신입사원들에게는 보드게임 형태의 교육은 조금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많은 기업에서 신입사원 교육에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글로벌 기업의 신입사원 교육을 기획 및 진행해 본 필자의 경험으로 볼 때, 아마도 6가지 목표를 가지고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도입해야 한 목표는 크게, 기업 경영의 어려움과 복잡함 이해, VALUE CHAIN의 역할 및 연계성 이해, 경영 성과 창출 프로세스 이해, 재무 및 원가 마인드 향상, 협업과 소통 능력, 기본적인 경영 관리 기법 이해 등이 될 것이다.
첫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기업 경영의 어려움과 복잡함을 이해할 수 있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활용하면, 신입사원들이 가상 기업이지만 흑자를 만들어서 생존하고, 미래를 위한 투자를 통한 지속 가능하게 하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복잡한 지를 경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기업 경영의 어려움과 복잡함을 이해함으로써, 본인이 속한 회사에 대한 애사심을 키우고, 보다 성실하고 헌신하는 마음을 갖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경험은 아마 다른 교육에서 경험할 수 없고 달성할 수 없는 중요한 business literacy이다. 대부분의 신입사원은 기업 경영은 저절로 굴러가고, 본인들이 받는 월급 수준 및 benefit만 생각할 가능성이 많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이 같은 생각과 마인드를 심어주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많은 교육 후기에서 기업 경영의 어려움을 경험했다는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기업의 다양한 value chain의 역할과 연계성을 이해할 수 있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활용하면, 교육생들은 가상 기업의 전략, 마케팅, 생산/운영, 인적 자원, 재무회계, 기술 개발 등 다양한 value chain의 책임자가 되어서 운영하면서 각 기능의 역할을 이해하고, 각 기능들의 연계성을 이해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본인이 일하게 될 기업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 어떤 기능과 조직이 존재하는지, 각 기능들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대부분의 신입사원은 본인들이 일할 부서의 역할만 이해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기업의 각 기능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어떻게 연계되는 지를 이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협업의 중요성을 경험하게 된다.
셋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기업의 경영 성과 창출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교육생들은 팀으로 가상 기업을 경영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장을 분석하고, 수요를 예측하고, 기술 개발 및 생산을 하고, 마케팅을 수행하고, 이를 지원하는 인적 자원 및 자금을 운영 관리하는 과정을 통해서 매출 향상, 원가 절감, 이익 창출하는 경영 성과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업 경영이 한번 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서 선제적으로 투자를 하고, 준비하고 노력해야 만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이 같은 경험을 통한 깨우침은 단순한 이론 중심의 경영 교육에서 얻기가 힘들 것이다.
넷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협업과 소통의 중요성을 경험할 수 있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신입사원들은 전략, 마케팅, 생산, HR, 기술 개발, 재무 기능들을 맡아서 수행하면서 자연스럽게, 각 활동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계가 되는지, 협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정보 분석 및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체험을 통해서 경험하게 된다. 이 같은 살아있는 경험은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이 제공하는 또 다른 장점이다.
다섯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기본적인 재무 마인드와 원가 마인드를 향상할 수 있다.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기업을 경영하는 과정에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원가를 이해하고 관리해야 하고, 동시에 매출을 향상해서 이익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원가 마인드와 재무 마인드를 갖추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업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재무상태표와 같은 기본적인 재무제표를 이해하고, 추정할 능력을 갖추게 된다. 나아가서 원가 관리, 수익성 분석, 경제성 분석 등과 같은 기본적 분석 능력을 향상하게 된다. 이 같은 원가 및 재무 마인드를 이론 중심의 강의를 통해서 강화하려고 하면 매우 힘들 것이다. 대신에 자연스럽게 learn by doing형태의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학습하면 훨씬 활용 능력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특히 많은 글로벌 기업에서 공학 및 자연 과학 출신들의 신입 사원들을 많이 선발하는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재무 마인드 및 원가 마인드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재무 및 원가 마인드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여섯째,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기본적인 경영 기법을 이해하고 활용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신입사원들은 가상 기업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전략, 수요 예측, KPI, 수익성, 경제성, 손익 추정, 현금 추정과 같은 기본적인 경영 관리 기법을 활용해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활용할 능력을 갖추게 된다. 특히 연구개발 및 생산 영역의 공학 및 자연 계열 출신들이 상대적으로 경영 관리 용어 및 기법들이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활용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